수의대 대학원 생활 4. 대학원 입학 전에 꼭 읽었으면 하는 책
·
VET'S Life/산과 대학원생의 일기
대학원에 입학하며 취미를 여러 가지 만들었는데, 그중에 하나가 바로 독서다. 학부생 6년 동안 1년에 1권 읽을까 말까 했는데, 대학원에 입학하며 보통 한 달에 두권, 최소한 한 달에 한 권씩 읽고 있다. 왜 이제야 독서에 눈을 뜬 건지 후회할 정도로 많은 책들을 읽으며 정말 많이 배우고 있다. 그중에서도 시리즈를 추천하려고 한다.수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는 학생들은 크게 두 갈래 길을 마주한다. 하나는 임상 수의사로서의 수련 과정으로 대학원 석사 과정에 진학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 중심의 비임상 대학원 과정에 진학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실제 진료 경험을 쌓으며 임상 수의학적 기술을 연마하는 과정이라면, 후자의 경우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며 학문적 탐구를 지속하는 과정..
수의대 대학원 생활 3. 대학원 컨택 (임상, 비임상 & 자대, 타대)
·
VET'S Life/산과 대학원생의 일기
들어가며수의대 대학원 생활 2. 대학원 선택까지의 고민 (자대와 타대, 네임밸류와 지도교수 등) — Shepherd Tizona 수의대 대학원 생활 2. 대학원 선택까지의 고민 (자대와 타대, 네임밸류와 지도교수 등)수의대 대학원 생활 1. 졸업하자마자 대학원에 진학한 이유들어가며수의사가 된 지 3년, 그리고 동시에 대학원생 생활 3년째. 석박통합과정으로 들어온 나는 어느새 연차만 보면 박사과정에 들tizona.tistory.com앞서 대학원을 선택함에 있어서 내가 고민했던 것들에 대해 언급했다. 학위의 학교가 우선인지, 아니면 지도교수가 우선인지는 본인이 어떤 것을 중요시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 골자다. 내가 여기에 쓰는 것들은 모두 여러분들보다 대학원에 먼저 들어간 선배로서 하는 조언일 뿐, 모..
수의대 대학원 생활 2. 대학원 선택까지의 고민 (자대와 타대, 네임밸류와 지도교수 등)
·
VET'S Life/산과 대학원생의 일기
수의대 대학원 생활 1. 졸업하자마자 대학원에 진학한 이유들어가며수의사가 된 지 3년, 그리고 동시에 대학원생 생활 3년째. 석박통합과정으로 들어온 나는 어느새 연차만 보면 박사과정에 들어갔고 이번 학기만 지나면 이제까지 대학원에 다닌 시간보tizona.tistory.com위 글에 이어집니다. 자대 vs 타대그렇게 나는 비임상쪽에 가까운 산과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결심했다. 외과 실험실이었기 때문에 자대 혹은 타대 외과 대학원 진학을 고민했지만, 결국 포기했던 이유는 레드오션인 임상판에 뛰어들 수 있을만큼 용기가 부족했다. 나는 결국 외과를 갔어도 학교에 남는게 최종 목표였지만, 만약 잘 안풀릴 경우에는 결국 개원해야 하는 점이 컸다. 경쟁이 싫어서가 아니라, 동물병원을 운영하는 데 순수한 실력보다는 부동..
수의대 대학원 생활 1. 졸업하자마자 대학원에 진학한 이유
·
VET'S Life/산과 대학원생의 일기
들어가며수의사가 된 지 3년, 그리고 동시에 대학원생 생활 3년째. 석박통합과정으로 들어온 나는 어느새 연차만 보면 박사과정에 들어갔고 이번 학기만 지나면 이제까지 대학원에 다닌 시간보다 앞으로 다닐 시간이 더 적어지는 지점에 온다. 전체적인 대학원 생활 자체는 만족스러웠지만 처음에 내가 실험방법이라든가 이런 것들을 배울 '한국인' 선배가 없어 스스로 바닥부터 시작해야 했고 중간에 그만둘까 하는 상황도 많았다. 많은 각오를 하고 대학원에 들어왔음에도 '그냥 군대나 갔다 와서 임상이나 할까' 하는 순간들도 있었다. 어떻게 보면 사춘기랄까? 사춘기 이후에 성숙해지는 것처럼 나 역시 한층 더 연구자로서 성숙해지는 시기에 있는 것 같다.대학원 1년차 때 '수의대생의 수의대 이야기' 시리즈를 마무리해야겠다는 생각..
마지막. 그렇게 나는 수의사가 되었다
·
VET'S Life/수의대생의 수의대 이야기
'수의대생의 수의대 이야기' 시리즈를 마무리하며수의대생의 수의대 이야기 22번째이자 이 시리즈의 마지막 글이다.쭉 읽어온 분들은 알겠지만, 처음에 이 시리즈를 기획한 건 나처럼 수의대가 있는지조차 몰랐던 문외한들, 특히 주변에 아는 수의사나 수의대생이 없이 인터넷에서만 정보를 얻어야 하는 수험생들에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였다.사실 내가 입학할 때만 해도 수의대 생활에 대한 블로그는 거의 없었다. 있어도 몇 년 전 글이라 가급적 최신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나에게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그렇게 글을 쓰기 시작한 결과, 본과 1학년부터 시작해 4년에 걸쳐 2022년에 이 글을 포함하여 총 22편의 글을 썼고 내 블로그에 유입되는 대부분의 검색 키워드가 '수의대생', '수의대 생활' 등이 되었다.어떻..
21. 본과 4학년 생활 마지막 - 수의사 국가시험
·
VET'S Life/수의대생의 수의대 이야기
퇴근하고 나서도 이것저것 할일은 있지만,,역시 그런것들 하기 싫을 때는 어느때보다 블로그에 글을 쓰고 싶어진다.그런 의미에서 쓰는 본과 4학년 생활 마지막 이야기, 국가시험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고자 한다.1. 수의사 국가시험에 대해사실 선배들도 그렇고 나도 그렇고 후배들도 대부분 수의사 국가고시로 알고 있는데, 위에 내가 찍은 사진도 그렇고 공식 명칭은 '수의사 국가시험' 이 맞다.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다지 중요한건 아니니 PASS. 나도 이미 국가고시라는 말이 입에 붙어버려서 국가시험이라는 단어가 어색하지만, 어차피 상관없다. 앞으로 국가시험은 모두 '국시'로 아래에서 말하겠다. 수의사 국시는 매년 1회 실시되며,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이를 담당하고 있다.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같은 다른 의료..